안녕하세요, 가족이 망막박리 수술 이후 안압이 높아지는 경우가 생겨서
약물 처방을 받아 관리 중이라 녹내장 치료에 사용되는 안압하강제의 약물
치료과정과 효과가 궁금해서 작성해보게 되었어요
녹내장은 시신경에 손상을 주어서 시력을 점차적으로 잃게 만드는 무서운
질환인데요, 이 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안압이 상승하는 것입니다. 안압
하강제는 높게 올라간 안압을 낮춰서 시신경 손상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안압하강제의 종류와 그 기전에 대해 알아볼게요
1.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 안방수 배출증가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는 녹내장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안압하강제 중 하나에요. 이
약물은 안압을 낮추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야간에 안압을 조절하는데 유용하게
쓰입니다.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는 안방수의 배출을 촉진해서 안압을 낮추는 기전을
가지고 있어요
구체적으로 이 약물은 눈의 섬유주를 통해 안방수가 빠져나가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섬유주란 눈 안에서 생성된 액체인 안방수가 빠져나가는 통로인데 이 통로의
저항을 줄여주어서 안방수 배출을 촉진하는 것이지요. 안방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면
눈의 압력이 자연스럽게 낮아져서 시신경을 보호할 수 있게 됩니다. 대표적으로는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로는 라타노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등이 있습니다
눈에 점안된 후 각막을 통해 흡수되고 주로 간에서 대사됩니다. 약물이 대사된 후
이 대사 산물들은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거나 담즙을 통해 배설되는데
비교적 장시간 동안 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서 주로 하루에 한 번 점안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답니다.
2. 베타 차단제 ; 안방수 생성 억제
베타 차단제는 안압을 낮추기 위해서 안방수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어요
이 약물은 안방수를 만드는 섬모체의 활동을 억제해 안방수의 생산량을 줄여줍니다.
안방수는 눈 안의 압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생성되었을 경우
안압이 상승해서 녹내장을 유발 할 수 있어요
베타 차단제는 이런 과도한 안방수 생성을 막아서 안압을 효과적으로 낮춰 줍니다.
특히 낮 동안의 안압조절에 유용한 약물이지만 야간에도 효과가 지속되기 떄문에
24시간 안압관리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대표적인 베타 차단제로는 티몰롤과 베탁솔롤
이 있으며 이 약물들은 녹내장 초기 치료에 자주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약물들은 전신적인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서 천식이나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베타 차단제는 점안 후 주로 혈류를 통해 간으로 이동해 되사됩니다. 간에서 대사된 이후
이 약물들은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는데요, 일부 베타 차단제는 체내에서 해독되지
않고 그대로 배설되기도 합니다
3. 알파2 작용제 및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 복합적인 기전
알파2 작용제와 탄산탈수효소 억제제는 안압을 낮추기 위해 복합적인 기전을 활용하는
약물들이에요. 알파2 작용제는 안방수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섬유주를 통해 안방수
배출을 촉진해 안압을 낮추어줍니다. 이 약물은 교감신경계를 억제하여 안방수 생산을
줄이고 섬유주의 유출로를 넓혀 안방수 배출을 촉진하는 이중 효과를 가지고 있어요
대표적인 알파2 작용제로는 브리모니딘이 있습니다
탄산탈수효소 억제제는 안방수 생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탄산탈수
효소를 억제해 안방수 생성을 줄여주는데요, 이 약물은 주로 경구용으로 사용되지만
점안 형태로도 사용됩니다. 탄산탈수효소 억제레를 사용하면 안방수 생성이 억제되어
안압이 효과적으로 낮아지게 됩니다. 대표적인 탄산탈수효소 억제제로는 아세타졸아마이드와
돌졸아마이드가 있어요
4. 복합 치료의 필요성
녹내장 치료에서는 종종 여러가지 안압하강제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치료가 필요합니다.
각 약물이 다른 기전을 통해 안압을 낮추기 때문에 여러 약물을 병용하면 안압 조절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어요 , 예를 들어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와 베타차단제를 함께 사용
하면 안방수 생성 억제와 배출 촉진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답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와 생활 습관에 맞춘 맞춤형 치료가 중요해요. 가족도 망막 박리
수술 이후에 안압이 너무 상승해서 녹내장 보는 교수님께 함께 진료를 보고 있는데
매주 안압 체크를 하고 안압의 상태에 따라서 약물을 조절하고 있어요.
현재는 약물로 조절이 되는 상태이지만 약을 끊었을 때 다시 상승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씩 줄여가고 있습니다
안압이 높아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망막박리 수술 이후에 (만약대학병워 수술이어서
자주 방문이 어려울 경우) 근처에 안과를 꼭 찾아두시고 안압 체크를 해보실 수 있도록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이글을 통해서 녹내장 치료에 사용되는 안압하강제의 기전을 이해하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오늘도 좋은하루보내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형 당뇨와 고혈압의 상관 관계와 영향 (0) | 2024.08.20 |
---|---|
관상동맥조영술 과정과 주의사항 및 한계점 (0) | 2024.08.19 |
두통 치료 후두신경 차단술이란? 적용 사례와 주의사항 (0) | 2024.08.18 |
척수성 근위축증 증상과 치료방법 (0) | 2024.08.18 |
듀오덤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의 치료 효과 (0) | 2024.08.14 |